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 의무란 무엇?

by only free 2025. 6. 18.

 ✅ 2025년 6월 1일부터 임대차 계약 신고 의무화, 무엇이 바뀌었나?

전월세 계약을 맺은 뒤 **‘신고’**까지 해야 하는 시대가 도래했다.   
2025년 6월 1일부터는 **주택 임대차 계약 신고**가 **의무화**되었다   
그렇다면 무엇을, 누구에게, 언제까지 신고해야 하는 걸까?

---

 📌 1. 제도 시행 취지와 시행일

임대차 시장의 정보 비대칭 문제를 해결하고 임차인의 권리를 보호하기 위해 도입되었다.  
2025년 6월 1일부터 과태료 부과 등 **의무화 조치**가 본격 시행되었다.

---

🏠 2. 신고 대상은 누구인가?

 ✔ 지역 요건  
- 수도권(서울, 경기, 인천)  
- 6대 광역시  
- 세종시, 제주도  
- 도 지역의 시(市)만 해당 (군 지역 제외)

✔ 금액 요건  
- 보증금 6천만 원 초과  
- 또는 월세 30만 원 초과

 ✔ 계약 종류  
- 신규 계약  
- 보증금·월세 변경 있는 갱신 계약  
- 계약 해제, 변경 포함

❌ 신고 예외  
- 기준 금액 이하 계약  
- 기간만 연장하는 묵시적 갱신  
- 전입신고 없는 단기 임시거주

---

 🧾 3. 누가 신고해야 하나?

- 임대인과 임차인이 공동 신고  
- 단독 신고 가능 (계약서 + 사유서)  
- 계약일 기준 30일 이내 신고  
- 방문 또는 온라인 신고 (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)  

---

 ⚠️ 4. 신고하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?

📌 과태료 부과  

| 위반 유형 | 과태료 |
|-----------|--------|
| 지연 신고 | 2만 ~ 30만 원 |
| 허위 신고 | 100만 원 |

- 확정일자 자동 부여 안 됨  
- 우선변제권 확보 불가 → 경매·사기 시 손해 가능성  
- 정책적 혜택에서 제외될 수 있음  
- 임대인도 과태료 대상, 세무 리스크 존재

---

 ✅ 마무리 체크리스트

| 항목 | 확인 |
|------|------|
| 계약 체결일 파악 | ☑️ |
| 보증금/월세 기준 초과 여부 | ☑️ |
| 해당 지역 여부 확인 | ☑️ |
| 30일 이내 신고 | ☑️ |
| 확정일자 자동 부여 확인 | ☑️ |

---

 ✏️ 한 줄 요약

주택 전월세 계약 후 **30일 내 신고**, **확정일자 자동 확보**, **과태료 피하기**까지 반드시 챙겨야 할 새로운 생활 법칙이다.